티스토리 뷰
![]() |
|
자본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합니다.
자본은 다르게 보면 돈이라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돈을 모으는 이유도 돈이 있어야 무엇인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건을 사는 것이나 강의를 들을 때도 돈이 들어갑니다.
생활하는데도 들어가고 품위를 유지할 때도 필요합니다.
돈이 생기게 된 것은 소유물이 생기면서입니다.
계속 이동을 하고 가진 게 없다면 사고팔 것도 없었을 겁니다.
자본 하면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일해서 돈을 벌어도 번 돈으로만 살기는 어렵기 때문에 다른 버는 법도 알아보는 것입니다.
자본을 이해하면 주식시장에 대한 도움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본과 주식시장에 대한 역사를 알려주는 책이 나와 소개하려 합니다.
책 제목은 ‘자본의 방식'입니다.
이 책을 통해 금융의 역사와 이론에 대한 이해가 될 것입니다.
◆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
인간은 일할 때 합리적으로 하려고 하는데요.
합리적이란 것은 이론이나 이치에 맞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은 선택할 때 비합리적인 것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허버트 사이먼은 사람은 대체로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람은 최적의 대안을 찾지는 못하는 것입니다.
대신 만족스러운 대안을 선택합니다.
95% 건강한 주스와 5% 건강하지 않은 주스를 비교해보겠습니다.
2가지를 제시한다면 대부분 안정적인 건강한 주스를 고를 겁니다.
하지만 두 가지 주스는 퍼센트로 보면 동일한 주스입니다.
같은 것을 봐도 이성적인 판단이 아닌 만족스러운 결과를 선택하게 됩니다.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것이 옳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준이 존재하고 그러한 기준을 따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 확률의 함정
주식에 투자할 때 리스크로 인한 결과에 주목합니다.
상한가를 칠 수도 있고 반대로 하한가를 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에서 리스크를 측정하기 위해 사람들은 다양한 시도를 합니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선택이 정말 리스크를 줄인 것일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리스크는 조사해서 예방할 순 있지만 0으로 만들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측정 가능한 리스크를 줄이더라도 측정 안 되는 위험도 조심해야 합니다.
리스크를 막았다는 판단은 잠깐의 위로는 되지만 완전히 막은 것은 아닙니다.
보이지 않게 다가오는 리스크로 인해 무너지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확률은 판단하고 예측을 할 순 있지만 100% 맞지는 않습니다.
함정에 빠지기보단 방향과 지표로 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끝으로 이 책은 금융의 역사와 이론이 담겨 있습니다.
이론뿐만 아니라 철학과 인간 심리에 대한 내용도 다룹니다.
책의 47가지의 주제로 금융을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입니다.
금융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책으로 추천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에듀웨이
- 길벗
- 부동산
- 전략
- 리더십
- 창업
- 한빛미디어
- 투자전략
- 위즈덤하우스
- 심리학
- 재테크
- 목표
- 라온북
- 쌤앤파커스
- 비즈니스북스
- 알에이치코리아
- 스타트업
- 제이펍
- 어크로스
- 기분파
- 행복에너지
- 성장
- 성공
- 투자
- 인공지능
- 마케팅
- 원앤원북스
- 북라이프
- 21세기북스
- 소소의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