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우리에게는 헌법이 있다
국내도서
저자 : 이효원
출판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020.05.18
상세보기



서울대는 많은 학생이 꿈꾸는 대학교입니다.

대학을 가면서 학교의 인맥도 많이 쌓을 수 있습니다.

대학 목표를 서울대로 정하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사람들이 서울대는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서울대의 양질 강의를 듣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서울대에서 가르치는 교수님의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

바로 서가명강 시리즈입니다.

시리즈 중 오늘 볼 책은 ‘우리에게는 헌법이 있다’입니다.

이 책을 통해 헌법에 대한 이해에 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헌법이란?
헌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사람마다 다르게 생각할 수 있지만 제가 바라보는 점을 설명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의 헌법은 1948년 제헌헌법으로 제정되었습니다.

헌법 1조 1항에는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이다’라 되어 있습니다.

1조 2항은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 입니다.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자유 민주주의를 바라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공산주의를 유지하려는 쪽과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국가는 국민을 사랑해야 하지만 폭력적으로 지배할 위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폭력이 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때마다 사람들이 일어나서 싸우고 헌법을 수호했습니다.

헌법의 가치는 사랑이라 생각합니다.

애국을 국가에 존경과 충성으로 이해하게 된다면 권력자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헌법의 궁극적 가치
헌법의 궁극적 가치는 평화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존엄하고 가치를 가진 존재입니다.

행복하게 살기 위해선 자유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전쟁이 발생하게 되면 많은 사람도 죽고 개인의 자유를 누릴 수 없게 됩니다.

헌법에는 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한다 적혀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봐도 통일을 위해 노력한 흔적도 보입니다.

남북정상회담도 진행하며 평화적 통일을 위해 힘썼습니다.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는 평화가 이루어지면 남과 북은 왕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산가족 상봉이란 안타까운 사연들을 보게 되면 하루빨리 통일되어 헤어졌지만 살아계신 가족끼리 만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끝으로 헌법이 추구하는 것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서울대 교수님이 알려주는 명강의를 책으로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책이 아닌 팟빵과 유튜브를 통해서도 강의를 볼 수 있습니다.

서울대에 가지 않고도 명강의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 되실 겁니다.

서가명강 시리즈 중 관심 분야도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보고 싶은 분야를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