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
|
대학을 가는 이유는 취업을 하러 가기 위해서입니다.
대학과 기업이 연관되어 있다면 취업에도 유리합니다.
자격증 시험의 경우에도 관련 학과를 나오면 필기 면제를 주는 특혜도 있습니다.
내가 다니는 대학교에 어떤 산학협력 인프라가 있는지 아는 게 중요합니다.
산학협력에 아는 분들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사람들에게도 공유해줍니다.
학교 시험을 보는 것도 혼자서 공부하는 것보다 스터디를 통한 공부가 더 효과적입니다.
산학협력 인프라가 적었던 시절에도 스터디하는 사람들이 취업률이 높았습니다.
분야에 관심이 있어야 취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취업할 수 있는 인프라가 더 구축되게 된 것입니다.
산학협력을 잘 알려주는 책이 있어 소개하려 합니다.
책 제목은 ‘산학협력에 답있다'입니다.
학교를 개인 사정으로 휴학하거나 군입대 등 학교 정보가 적은 학생에게 도움 될 것입니다.
◆ 지역 혁신 플랫폼
대학과 산업체의 협력이 지역사회로 확장하는 것을 지역 혁신 플랫폼이라 합니다.
지역을 살리기 위해 인프라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서울에 고밀도의 인구가 밀집되어 있습니다.
다른 지방에 비해 사람이 많기 때문에 회사도 많습니다.
서울에 밀집된 인원을 줄이기 위해 지역의 산업도 활성화해야 됩니다.
광주 지역의 AI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글과컴퓨터 그룹도 손잡았습니다.
산학협력을 통해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되길 기대합니다.
지역경제도 활성화되고 창의 인재도 발굴한다면 우리나라 산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직장체험
대학 생활을 하다가 3, 4 학년쯤에 인턴으로 직장체험을 하기도 합니다.
학교를 졸업하기 전 인턴 생활을 해보며 자신의 진로를 정하는 겁니다.
직장체험을 통해 인턴 생활을 잘 마치면 취업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는다면 다른 진로를 탐색하게 됩니다.
대학에서는 직장체험과 창업동아리 등 취업률을 올리기 위한 노력을 하는 중입니다.
하지만 이외의 여러 시스템이 있지만, 청년실업률이 나아지고 있진 않습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가려는 학생들과 취준생들이 있습니다.
취업 연계형 교육을 듣고 취업하기도 합니다.
끝으로 코로나로 인해 대학교 수업도 원격으로 하고 있습니다.
학교뿐 아니라 회사도 원격근무가 가능한 경우 원격으로 근무합니다.
오프라인 교육이 주를 이루었으나 코로나를 계기로 온라인 강의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학교의 정보를 통해 취업에 성공하는 학생들이 많길 바랍니다.
코로나도 하루빨리 잠잠해지고 원상태로 되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 겪은 이 사태가 또다시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잠잠하더라도 온라인 과정도 많이 활성화됐으면 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쌤앤파커스
- 투자
- 길벗
- 성공
- 위즈덤하우스
- 전략
- 성장
- 투자전략
- 어크로스
- 라온북
- 부동산
- 알에이치코리아
- 한빛미디어
- 마케팅
- 리더십
- 북라이프
- 제이펍
- 소소의책
- 원앤원북스
- 행복에너지
- 기분파
- 21세기북스
- 심리학
- 스타트업
- 인공지능
- 재테크
- 비즈니스북스
- 창업
- 에듀웨이
- 목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