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프레임의 힘

newdecide 2022. 4. 4. 10:11
반응형


나라마다 나라의 틀 안에서 생활합니다.

틀 안에 갇힌 사고를 하게 되면 변화를 할 수 없습니다.

프레임을 보여주는 책을 소개해 드리려 하는데요.
소개하려는 책은 ‘프레임의 힘' 입니다.

돌파구가 없을 것 같은 상황에서도 전 세계 1%의 인재들은 방법을 찾아냅니다.

인공지능이 만들어지면서 사람들은 인공지능에 대한 두려움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만들어내는 소수의 인간이 점점 영리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인공지능은 스스로 교훈을 얻고 적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프레임이 어떤 힘을 가졌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 노키아를 이긴 애플
노키아는 2008년 당시 휴대전화 판매 세계 1위였습니다.

전화기의 크기를 작게 만들고 판매가격을 낮추는 전략을 쓰고 있었습니다.

보수적인 사고로 인해 애플이 아이폰을 만들었을 당시만 해도 아이폰이 이기긴 어려울 거라 판단했는데요.
애플의 아이폰은 덩치가 크고 가격도 비싸고 버그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혁신으로 인해 애플이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어 냈습니다.

애플을 시작으로 스마트폰이 더 활성화되었고 지금은 소형 컴퓨터를 전 세계 사람들이 가지고 있습니다.



◆ 프레임 구성 성공 후의 대처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나 구글의 래리 페이지 등 전 세계의 1%의 인재들은 다르게 생각합니다.

프레임을 만들어가면서도 성공으로 끝내지 않습니다.

성공한 이후에도 문제점과 대안을 생각해냅니다.

그들만의 고집스러움과 함께 프레임에 대한 가치와 대안도 마련했기 때문에 세상을 바꿀 수 있었다고 봅니다.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도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일 뿐 스스로 결정할 순 없습니다.



끝으로 프레임을 구성할 때도 같은 데이터에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애볼라 바이러스가 유행했을 때 멈출 방법을 연구한 일이 있습니다.

같은 데이터로 분석했는데 서로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왜 다른 결과가 나왔을까요?
발생한 맥락과 확산 가능성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가진 프레임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분석 결함이라기보단 동일한 관점에서 분석했으면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