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개발하려고 합니다.
개발할 때 경험에 따라서 능력치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런 이유로 많이들 큰 회사에 취업하려고 하는데요.
서비스 이용 트래픽이 회사마다 차이가 많습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게 도와줄 책을 살펴보려 합니다.
살펴볼 책은 ‘적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완벽한 코딩은 할 수 없지만 실패할 수 있는 설계는 피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에도 위험도가 중요도를 잘 따져야 합니다.
리스크 주도 접근 방법을 통해 설계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 리스크 주도 모델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를 만들 때 리스크를 비교합니다.
여러 기능 중 꼭 필요한 기능을 중심으로 만드는데요.
실패 리스크가 적은 옵션을 선택합니다.
성공적인 설계는 한 번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실패를 예상하고 제거했을 때 성공적인 설계가 만들어집니다.
리스크 주도모델의 핵심은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리스크 식별 및 우선순위 지정
일련의 기법 선택 및 적용
리스크 감소 평가
개발을 하다 보면 여러 리스크를 고려하며 간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간과한 것은 추후에 발견되면 조치하게 됩니다.
◆ 아키텍처 스타일
개발하다 보면 디자인 패턴을 배우게 됩니다.
패턴은 반복되는 문제를 재사용할 수 있는 해결책입니다.
아키텍처 스타일은 아키텍처 수준에서 발생하는 컴포넌트와 모듈 같은 아키텍처에 적용이 됩니다.
스타일은 사전 제작된 제약 조건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 경우 설계와 디버깅 작업 시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또한 한번 쓰였던 스타일은 깔끔하게 만들어졌다면 일관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끝으로 이 책은 미숙한 개발자나 숙련된 개발자를 위한 책입니다.
리스크 주도모델의 개념부터 적용 방법까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만날 수 있는 리스크에 맞게 적정한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방법을 알려 줍니다.
다양한 종류의 아키텍처 스타일도 정리되어 있어 개념을 쌓을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에듀웨이
- 원앤원북스
- 창업
- 리더십
- 재테크
- 성공
- 알에이치코리아
- 제이펍
- 마케팅
- 심리학
- 기분파
- 비즈니스북스
- 라온북
- 투자
- 21세기북스
- 투자전략
- 인공지능
- 스타트업
- 전략
- 어크로스
- 길벗
- 목표
- 행복에너지
- 소소의책
- 쌤앤파커스
- 북라이프
- 부동산
- 성장
- 위즈덤하우스
- 한빛미디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