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창업하고 마트를 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직장 다니기 힘들거나 적성에 안 맞을 때도 옮깁니다.

장사하려면 초기자금도 필요합니다.

직장 다니다 일 못 하게 되면 모은 돈으로 치킨집 한다는 말도 있는데요.
대기업 직장을 다니다가 마트를 창업한 사람이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과 대형마트로 인해 마트를 시작하기 두려운 마음도 생길 겁니다.

저자도 마트를 창업해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하는 고민했었습니다.

고민 결과 데이터를 분석을 선택했습니다.


◆ 데이터 분석이 중요하다
저자는 마트를 창업하기 전 재무제표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온라인 시장으로 인해 오프라인 시장의 손님은 줄어들었습니다.

그래도 저자가 뛰어든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전자공시시스템의 중소형 마트 12곳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것입니다.

재무 재료를 통해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영업이익들의 데이터를 산출했습니다.

창업 전만이 아니라 후에도 데이터를 산출을 계속했습니다.

운영을 데이터를 기반하여 정했습니다.

데이터에 답이 있다고 본 것으로 보입니다.


◆ 데이터와 감성적인 접근
저자의 성공 비결은 데이터와 감성적인 접근을 결합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데이터로 무엇을 할까 생각이 들 텐데요.
고객의 재방문 횟수가 높아지는지 확인하는 전략을 실행했습니다.

마트를 오픈한 후에 평균 구매 주기, 신규 고객 수, 이탈 고객 수 등을 파악한 것입니다.

매출이 지속해서 열리려면 마트를 재방문하는 고객이 많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탈 고객 수는 줄이고 신규 고객 수를 늘리는 방안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마을에서 인구수가 늘어날 확률은 새로운 건물과 직장이 들어오지 않고는 많은 인구가 오진 않습니다.

데이터를 참고해 고객의 재방문 횟수가 많았을 때의 데이터는 유지할 텐데요.
고객들이 이탈했던 부족했던 데이터는 수정하는 전략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끝으로 저자는 고객들을 놓치지 않기 위한 노력이 더 있는데요.
상시적인 가격 할인 행사를 유지해 신규고객을 유치했습니다.

또한 재방문할 마음이 되도록 사은품 제공 좋은 글과 계산대를 꽃으로 꾸미는 등 여러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저자의 손님을 모으는 노하우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