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신입사원 채용에 업무 역량을 평가합니다.
또한 회사 직원이 진급할 때도 평가를 치릅니다.
역량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이 나왔습니다.
그 책은 ‘역량평가 나는 프레임워크로 해결한다’ 입니다.
역량평가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머리와 공부 머리
회사에서는 일머리가 더 필요합니다.
학창시절 공부를 잘했던 친구들이 커서도 성공할 거라 생각하는데요.
시험을 성적이 좋은 친구들이 다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취업하고 일을 하면서 일을 잘 못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역량평가는 일머리를 보는 평가입니다.
일머리가 어떤 것인지 설명하겠습니다.
일머리가 있다는 것은 업무를 이해하고 흐름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 업무를 잘하려면 분석해야 한다.
관찰을 잘하는 사람은 업무도 잘 분석합니다.
검색엔진 만드는 것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검색엔진을 만든다면 고객이 찾는 키워드에 맞는 결과가 나와야 합니다.
키워드를 수집하고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거나 없어야 하는 조건도 줄 수 있습니다.
앱을 만든다면 완성한 앱을 사용하는 고객이 불편한 건 없는지 베타테스트 과정이 있습니다.
유사한 앱들은 어떻게 동작하고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기능을 분석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끝으로 기존의 평가지를 통한 진급 방식은 공부 머리만 있으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상품은 고객 모으는 것이 어렵습니다.
일 머리가 있는 사람은 사용자의 필요한 기능을 잘 파악하므로 좋은 접근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부동산
- 쌤앤파커스
- 21세기북스
- 성장
- 에듀웨이
- 리더십
- 비즈니스북스
- 어크로스
- 인공지능
- 스타트업
- 재테크
- 행복에너지
- 심리학
- 기분파
- 창업
- 투자
- 한빛미디어
- 목표
- 북라이프
- 성공
- 제이펍
- 길벗
- 투자전략
- 알에이치코리아
- 라온북
- 마케팅
- 원앤원북스
- 소소의책
- 위즈덤하우스
- 전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