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는 서버 개발자와 데이터 분석가라면 잘 알아야 하는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의 기본 개념부터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파일 시스템, 가상화 등 알아야 할 부분이 많은데요.
리눅스를 학습하고 활용하는 데 효과적인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소개해 드릴 책은 ‘그림으로 배우는 리눅스 구조’입니다.
이 책은 리눅스 및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으로 설명해 줍니다.
그림을 통한 시각적인 설명과 함께, 실습 코드는 Go와 Python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커널부터 시작하여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가상화, 컨테이너, cgroup 등의 내용을 폭넓게 다룹니다.
이 책을 통해 리눅스의 핵심 개념과 기술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프로그래밍과 시스템 운용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 프로세스 통신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말하는데요.
메모리에 할당된 공간과 실행 상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프로세스 간 통신은 프로그램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거나 조율할 때 사용합니다.
공유 메모리는 프로세스들끼리 특정 메모리 영역을 공유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 프로세스 간에 시그널 신호를 주고받아 응답받을 수 있습니다.
한쪽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다른 쪽에서 받는 형태로 프로세스 간에 단방향 통신 파이프를 만듭니다.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소켓을 이용하여 프로세스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합니다.
마치 전화나 채팅하듯이 프로세스끼리 소켓을 통해 대화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관리
리눅스 메모리 관리 시스템 명령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영체제에서 메모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그 명령어는 used, buff/cache, SAR입니다.
used는 운영체제에 사용 중인 메모리양을 표시해 줍니다.
버퍼와 캐시는 buff/cache 명령어로 사용된 메모리양을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 자원 사용 통계를 확인할 때는 sar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안 쓰는 프로세스를 삭제하거나 메모리 강제 해제하면 됩니다.
강제 해제한 메모리는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하는 식으로 메모리를 관리합니다.
끝으로 리눅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눅스의 핵심인 커널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 책은 Go, Python으로 작성된 실습 코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도 실습으로 리눅스와 관련된 개념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실습 코드와 친절한 주석 설명이 함께 제공되어 리눅스 개발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책을 통해 리눅스와 커널, 시스템 운용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는 기반 지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그림으로배우는리눅스구조 #리눅스 #메모리관리 #운영체제 #소켓프로그래밍 #시스템운용 #프로세스통신 #한빛미디어
- Total
- Today
- Yesterday
- 창업
- 마케팅
- 행복에너지
- 성공
- 위즈덤하우스
- 라온북
- 기분파
- 비즈니스북스
- 재테크
- 투자전략
- 부동산
- 어크로스
- 소소의책
- 알에이치코리아
- 원앤원북스
- 제이펍
- 리더십
- 한빛미디어
- 성장
- 쌤앤파커스
- 에듀웨이
- 북라이프
- 인공지능
- 심리학
- 길벗
- 투자
- 21세기북스
- 목표
- 스타트업
- 전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