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선진국 경제의 품격

newdecide 2023. 12. 18. 22:32
반응형



한국은 지난 몇 십 년 동안 산업화, 민주화, 디지털화, 그리고 K-문화의 발전을 거듭하여 놀라운 경제적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품격 있는 선진 경제로의 도전이 남아있습니다. 

김준영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는 자신의 저서인 ‘선진국 경제의 품격’에서,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을 모색하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김 교수의 주장과 그 근거를 통해 한국 경제의 품격 강화에 대한 비전과 전략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




◇ 구조적 도전과 김 교수의 비전
한국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도전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합니다. 

현재의 문제는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한 생산력과 활력의 감소, 정치·경제·사회적 양극화와 사회 갈등의 심화로 나타납니다. 

김 교수는 통합과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요.
특히 이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으로 인문·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는 선진국 경제의 품격은 기술과 경제력뿐만 아니라, 미래를 향한 비전과 휴머니즘, 그리고 인문정신과 사회적 도덕 기반이 튼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 기술과 휴머니즘의 공존과 소프트웨어적 가치 강조
저자는 국내외의 사례를 통해 기술과 휴머니즘이 공존하는 경제 모델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벤처기업과 독일의 중소기업들은 격물치지의 정신과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삼성반도체의 역사도 이런 격물치지의 근성이 선견지명과 혁신을 통해 창조적 파괴의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이를 통해 저자는 기술과 휴머니즘이 결합한 품격 있는 경제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현대 자본주의의 윤리와 정신에 대한 논의를 펼칩니다. 

자본주의의 근간은 자유주의와 도덕감정이 함께하는 자유자본주의, 그리고 프로테스탄티즘을 기반으로 하는 자본주의 윤리와 정신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를 현대에 적용하여 갈등과 분열을 사회통합적으로 해소하며, 지속 가능한 자본주의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한편, 글에서는 경제적 가치를 뛰어넘는 소프트웨어적인 가치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됩니다.

사회적 공감, 기업가 정신, 혁신, 근성, 창조, 통찰, 지적 열정 등 7가지 소프트파워를 제시하며, 이러한 가치들이 경제의 주체인 사람의 존엄과 행복을 추구하는 휴머니즘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지속적인 소통회로와 개방적인 관계망을 통해 공감경제 플랫폼을 활성화하고, 소프트웨어적 가치를 강조합니다.




끝으로 한국 경제가 선진 경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술과 경제력뿐만이 아니라, 휴머니즘과 소프트웨어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품격 있는 경제를 추구해야 합니다.

김준영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가 제시한 이러한 비전과 전략은 구체적이며, 다양한 사례와 논리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도전에 대한 성찰과 함께 휴머니즘과 소프트웨어적 가치를 통합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미래의 한국은 선진국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감과 행복을 추구하는 품격 있는 경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경제 #김준영 #선진국경제의품격 #휴머니즘 #소프트웨어적가치 #구조적도전 #비전과전략 #사회적공감 #기술과경제력 #품격있는경제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